안녕하세요~ 나그네 길 찾는 백화점 나길백입니다.
카카오 애드핏이나 구글 애드센스도 그렇듯이 수익을 얻으려면 보고서를 참고할 줄 알아야 하기에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처음 봤을 때 용어가 생소하지만 보다 보면 어렵지 않습니다.
구글 애드센스 보고서 용어정리
1. 예상수입
- 애드센스를 통해서 발생할 수익
확인 시점에 표기된 금액으로 확정금액이 아닌 48시간 이내 무효클릭을 감지하여 반영, 정확한 수익을 확인하기까지 시간 소요
2. 페이지뷰
- 방문자가 구글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 집계되는 수치 (광고 수 무관)
즉, 방문자가 해당 페이지를 방문하면 1회 (페이지에 광고가 여러 개 있더라도 페이지 뷰는 1회로 간주)
3. 페이지 RPM
- 조회수 1,000당 평균 수익 = 예상수입 / 페이지 죄 회수 * 1000
즉, 페이지 RPM이 10달러일 경우 내 블로그에 방문자가 1000명 방문할 때마다 10달러의 수익이 들어올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 페이지RPM이 높을수록 이탈률이 적고 체류시간도 높다고 판단할 수있습니다.
4. 노출수
- 광고 요청 1회에 대해 하나 이상의 광고가 사용자 기기에 노출되면 1회 집계
(광고가 3개 달린 포스트를 1번 조회하면 노출은 3회로 인정)
5. 노출 RPM
- 1,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
즉, 노출 RPM이 10달러일 경우 노출수 1000회당 10달러의 수익이 들어올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6. 클릭수
- 내블로그에 방문자들이 내 광고를 클릭한 횟수입니다.
방문자가 100명이 와도 광고를 클릭하지 않으면 0으로 카운팅 되고 1명이 5개의 광고를 클릭한다면 5개로 카운팅 됩니다. (※ 수익을 내기 위해 본인이 자기광고를 클릭 시 무효 트래픽 발생으로 애드센스 정지가 될 수 있습니다.)
7. CPC (클릭당 비용)
- 광고 클릭당 비용을 뜻 합니다.
즉, CPC가 1달러라고 한다면 내 블로그에 누군가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평균 0.5달러의 수익을 준다라고 보면 됩니다.
8. 페이지 CTR
- 내 페이지에서 광고를 클릭할 확률을 뜻 합니다.
즉, 페이지 CTR이 5%일 경우 1명의 방문자가 내 블로그 내에서 광고를 클릭할 확률이 5%이다라고 보시면 됩니다.
나의 블로그 유입되는 비율 (플랫폼)
보고서 좌측의 '플랫폼' 기준으로 소트를 하면 어떤 기반으로 들어오는지 수치를 볼 수 있습니다. 위에서의 수치가 나타내듯이 휴대기기의 발전이 지속되면서 데스크톱에서 핸드폰으로 모든 활동기반이 넘어간 지 오래입니다. (고급형 휴대기기 72% : 데스크톱 28%)
나의 블로그 게재된 광고 크기
저는 애드센스 승인이 난 초보라서 현재 '자동광고'를 이용하고 있습니다. 내가 쓴 글에 맞춰서 자동으로 광고가 게재되며 바뀌고 있습니다. 또한 광고의 크기도 때에 따라 바뀝니다. 그러한 수치 또한 살펴볼 수 있습니다.
구글 애드센스 보고서에 들어가면 이 외에도 찾아볼 수 있는 수많은 데이터가 있습니다.
보고서도 복잡한 듯 느껴지는데 계속 접하다 보면 적응될 듯합니다.
좋은 하루 보내세요~!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용한 정보] - 구글애드센스 : 주소를 확인하지 않아 지급이 보류 중입니다. (0) | 2021.04.26 |
---|---|
[유용한 정보] - 구글 애드센스 키워드 분석 (구글 애즈워드) (2) | 2021.04.07 |
[유용한 정보] - 구글 애드센스 무효 트래픽이란? (0) | 2021.04.05 |
[유용한 정보] - QR코드 스캔 쉽게 하는법! (카카오) (0) | 2021.04.02 |
[광고승인] - 구글 애드센스 통과기 (재수만에 승인) (2) | 2021.03.31 |
댓글